디지털 광고란

디지털 광고: 디지털 미디어에 노출되는 모든 광고
디지털 광고: 디지털 미디어에 노출되는 모든 광고

디지털 미디어를 판매 단위로 구분하면 단일 매체/네트워크 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. (단일 매체이자 네트워크 매체인 경우도 있다)
1. 단일 매체 Ex. 네이버, 카카오
: 개별매체 단위로만 광고를 판매하는 매체(Naver와 같이 한 매체 내에서만 노출시키는 광고상품 보유매체)
| 단일 미디어의 특징 | 이용자 규모에 따른 강력한 광고효과 보장매체 내 지정된 영역 ‘지면(계좌)’ 단위 판매를 원하는 광고주가 많아 광고단가 높음 * 프리미엄 상품일수록 취소 위약금 발생 가능 2. 네트워크 매체 Ex. GDN, 크리데오, 타겟팅 게이츠, 다윈

: 각 매체의 특정 상품을 묶음 판매하는 매체다 하단의 [AD]표시와 같이 따라다니는 광고상품!| 네트워크 미디어의 특징 | 1. 저렴한 광고 단가 2. 이용자 행동 데이터를 활용한 ‘오디언스’ 타겟팅 판매 3. 브랜드에 적합한 타겟 커버리지 확보에 유리 * 단, 매체나 지면 선택이 불가하며 수많은 미디어 노출로 집행광고 확인이 어렵다.광고 상품의 유형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뉜다.: 배너광고 / 동영상광고 / 네이티브광고 / 리워드광고 / 검색광고1. 배너 광고대표적인 디지털 광고 형태로 지정된 위치와 영역에 노출된다. 네이버 PC 타임보드 광고, 카카오비즈보드가 대표적! 2. 동영상 광고5~30초 길이로 영상 시청 전/중/후 삽입돼 주목도가 높아 광고주들이 선호하는 광고 상품 유형이다. 유튜브, 아프리카TV, 트위치 등이 대표적! 3. 네이티브 광고= 광고답지 않은 광고 콘텐츠와 콘텐츠 사이에 위치해 자연스러운 노출이 가능하다. 보통 인스타그램, 페이스북, 밴드 등에서 피드로 광고인 줄 몰랐는데 사실 광고일 경우 ‘네이티브 광고’다! 4. 리워드 광고광고 시청이나 미션 수행 시 보상을 제공하는 유형의 광고 상품. 유저의 참여 유도가 가능하다. 쇼핑 앱 광고주가 선호해 회원가입이나 보험가입 등의 액션을 유도.5. 검색광고서울시청 네이버 검색광고네이버/구글 등 포털에서 검색어 입력 시 검색결과 페이지에 노출되는 광고로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이며, 검색어에 니즈가 뚜렷한 사용자 전환 유도가 확실하다는 장점이 있다.광고 상품은 판매 방식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다. 판매방식별로 구분되는 광고상품: 보장형(예약형)광고상품, 성과형(경매형)광고상품1. 보장형(예약형)대표적인 상품으로는 CPT(Cost Per Time) 시간당 광고 단가가 결정되는 네이버 타임보드가 있다. 고정단가 인벤토리(광고게재가능영역) 구매 높은 주목도 → 안정적인 도달(광고노출) 확보 가능 높은 단가로 대형 광고주 선호 (타임보드 시간당 1,000만원w..) 2) 성과형(경매형)대표적인 상품으로 페이스북이 있으며 리얼타임 비딩으로 효율, 클릭 단가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+타겟팅이 가능해 중소형 광고주들이 선호한다.유연한 단가에 실시간 비딩 방식으로 광고 인벤토리 구매 효율적인 비용으로 우수한 성과 기록 가능한 단가로 중소형 광고주를 선호한다면 보장형과 성과형 중 어느 쪽이 더 좋을까? – 안정적인 노출수 달성을 원하는 광고주에게는 높은 고정단가를 지불하는 보장형 광고상품이 적합 –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으로 특정 타겟집단에 광고를 노출하고자 한다면 Real time bidding의 성과형 광고상품이 적합네이버의 경우 보장형인지 성과형 상품인지에 따라 광고 운영/관리하는 플랫폼 자체를 구분해놨다. 보장형의 경우 NO SP네이버 NOSP NO SP는 크롬 이외의 브라우저를 사용할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nosp.da.naver.com성과형의 경우 GFA네이버성과형디스플레이광고본문바로가기내계정메뉴바로가기gfa.naver.com네이버성과형디스플레이광고본문바로가기내계정메뉴바로가기gfa.naver.com네이버성과형디스플레이광고본문바로가기내계정메뉴바로가기gfa.naver.com

